아미타 팔대보살도






고려불화는 세계적으로 아름다운 종교예술로 꼽힌다. 섬세하고 단아한 형태, 붉은색·녹색·청색 등 원색을 주조로 한 화려한 색채의 조화, 호화로운 금니(金泥)의 사용, 흐르는 듯 유려하면서도 힘 있는 선묘(線描)는 동아시아에서 독보적인 미(美)의 세계를 창조했던 고려인의 높은 품격을 잘 보여준다.

현재 남아있는 고려불화는 160여점. 그 중 130여점이
일본에, 20여점이 미국과 유럽에 있다. 국내에 있는 10여점은 최근 외국에서 구입한 것이다.

고려시대에 제작된 이 그림들은 언제 어떤 경위로 해외로 유출됐고, 왜 일본에 많은 걸까? 고려불화 전문가인 박은경
동아대 교수는 "고려시대에 일본에서 수입하거나 일본 사신에 대한 증여품으로 건너갔을 가능성이 있고, 고려 말 왜구들이 약탈하거나 임진왜란 때 유출된 것도 적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된다"며 "국내에 거의 남아있지 않은 이유는 숱한 외부 침략으로 불에 타고, 조선시대 폐불(廢佛)정책으로 상당수가 소각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럽이나 미국의 박물관에 소장된 고려불화들은 대부분 일본에서 건너간 것으로 보인다. 1868년 일본의 메이지(明治)유신 때 일본 정부가 토속신과 외래신을 구분하는 '신불분리(神佛分離)' 정책을 펴면서 많은 불상·불화들이 소각·파괴됐는데 이 시기에 많은 불교미술품이 해외로 유출됐다는 것이다.


그 많던 고려불화, 왜 대부분 외국에 있을까